A Letter from the Heart
A Letter from the Heart
- A short film about love 4
- 고경수 / GOH Gain-soo
- 2017
- DCP / Color
- 23min 55sec
- English Subtitle
- 시놉시스
- Do-woo, a solider requiring special attention, expresses his feelings for Hyun-joo through hip hop at the Dream Camp.
- 연출의도
- I wish Do-woo's voice could be heard somewhere, someplace.
- 상영 및 수상
- World Primiere
- 리뷰
- 랩 하는 군인 도우는 관심병사다. 그는 늘 누군가의 감시를 받아야 한다. 도우는 부대 밖의 한 기관에서 봉사활동을 하는 동안 현주를 알게 되고 그녀에게 관심을 보인다. 하지만 도우의 소문을 들은 현주는 그에게 거리를 둔다. 동료들과 장기자랑을 준비하던 중 도우는 현주에게 노래로 마음을 고백하는데, 현주의 대답은 미안하다이다. 그날 저녁, 도우가 사라진다.
군대, 그 중에서도 관심병사를 소재를 소재로 한 이 영화는 소재의 무거움과는 달리 편안하고 명쾌하다. 그것은 랩 이라는 수단 때문이다. 관심병사와 드림캠프를 자막으로 소개하는 도입부에 동반되는 사운드, 즉 총을 장전하고 발사하는 소리, 새소리, 힙합 비트의 어우러짐은 자막의 진지한 내용과 대조를 이룬다. 그리고 이러한 분위기는 영화 전반을 지배한다. 감독이 하고 싶은 말은 도우의 랩으로 전달되는데, 랩은 대사라는 표현수단만큼 직접적이지만 그 메시지가 대사로 전달되었을 때 예상되는 과잉과 인위적 분위기를 피하면서 영화에 활기를 불어넣는다. 랩에 의한 장점이 있는 반면 관심병사 도우의 동반적 시점에 지배되면서 이야기가 한 인물의 주관성에 지나치게 치우쳐 전개되는 점은 보는 사람을 불편하게 만든다. 이는 주변 인물들을 평면적으로 만들면서 관객이 한 인물에게 동화되기를 강요하기 때문이다. 표현 형식면에서는 연기가 어색한 순간들 편집 리듬이 매끄럽게 못한 순간들도 존재한다. 그러나 다른 관점에서 보면 이러한 형식적 어색함과 낯섦은 이 영화가 재현하는 내용과 가장 잘 맞는 형식이 아닌가, 재고하게 된다.
결국 문제는 소통이다. 소통에는 다른 사람의 목소리의 낯선 말들, 타자의 언어에 귀 기울이는 자세가 필요하다. 영화 속 도우의 랩은 그 타자의 언어 위치에 있다. 영화는 바로 이 타자의 말이 익숙한 우리의 말보다 더 진실 될 수 있고 그래서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항변하는 셈이다. 도우가 봉사하는 기관 사람들은 ‘사랑합니다’라고 인사한다. 모두 익숙하게 사용하는 이 인사말이 일상의 상투어로서 그 본래 의미를 잃은 말이라면, 낯선 도우의 랩, 즉 타자의 말은 도우의 진심을 담은 ‘마음의 편지’이기 때문이다. (성진수, 영화평론가)
- 감독정보
-
고경수
GOH Gain-soo
2015 <오리지날 필름>
2015 DMC단편영화페스티벌
2015 전북독립영화제
- 스탭
-
- DirectorGOH Gain
-
Producer GOH Gain
-
ScreenwriterGOH Gain
-
Assistant DirectorLEE Da
-
CinematographerKIM Joon
-
Editor GOH Gain
-
MusicSONG Ji
-
SoundKIM Sung
-
CastKIM Hui
A Letter from the Heart
A Letter from the Heart
- A short film about love 4
- 고경수 / GOH Gain-soo
- 2017
- DCP / Color
- 23min 55sec
- English Sub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