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oubled Troubadour
The Troubled Troubadour
- The extreme nightmare 3
- 포레스트 이안 엣슬러, 심세부 / Forest Ian Etsler, Sébastien Simon
- 2016
- DCP / Color/B&W
- 23min
- Korean Subtitle
- 시놉시스
- Two middle-aged Japanese men – a hubristic musician and his stoic companion – travel aboard a wheeled canoe on the abandoned train tracks along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hey fall into an ambush set by a tribe of wild Korean children, who mistake the musician for their long-awaited Mountain God.
- 연출의도
- The Troubled Troubadour takes the form of a road movie, but it also carries elements of comedy, fantasy, Western and allegory. Structured along three movements (going nowhere, having no one, being nothing), the movie borrows from several belief systems, mythologies and legends: Greek (Charon and the Styx), Norse (boat funeral), Germanic (the Pied Piper from Hamelin), Korean Shamanism (the Mountain God, the “O-bang” God), Korean Buddhism (the monk Won-hyo who drank from a human skull) and American blues (Robert Johnson, the devil at the crossroads). The use of these local myths enhances the lyrical, poetic tone of this peculiar yet timeless story about a man confronting his own death.
- 상영 및 수상
- 2016 서울독립영화제
- 리뷰
- 한국말을 조금 할 줄 아는 일본인 음유시인이 작은 기타를 퉁기며 이 나라 저 나라를 여행하는 로드무비다. 그가 통과하는 에피소드는 각 나라의 신화, 전설, 민담의 은유를 면밀하게 차용하고 있다. 망자를 운반하는 뱃사공 카론, 아이들을 몰고 간 피리 부는 사나이, 한국의 무속신앙, 원효대사와 해골바가지, 악마와 거래해서 연주 실력을 얻었다는 블루스 음악의 대가 로버트 존슨에 관한 이야기 등. ‘전 세계 범위의 작은 마을’이라는 역설적이지만 이상적 공동체를 음유시인이 주유하는 낙관을 전제한다. 모든 에피소드에 스며들어 있는 집단서사와의 연결 덕분에 비록 음유시인 한 사람의 이야기임에도 마치 마을 주민들 여럿을 모아놓고 들려주는 구비 문학 같은 느낌이 생겨난다. 후반에 가면 음유시인은 외부 세계와 차단된 컴컴한 터널을 홀로 통과해야 한다. 그 안에 들어가는 순간 흥미롭게도 그는 우리와 똑같은 암울한 현대인이 될 수밖에 없다. 고립된 그는 주마등처럼 스쳐가는 기억 때문에 번뇌하는데, 그곳을 탈출하려면 원효 대사가 그랬던 것처럼 획기적 깨달음의 계기를 통과해야 한다. 영화의 미쟝센은 형언할 수 없이 묘하다. 적어도 세 가지 이질적 음성들이 서로 경쟁한다. 동화처럼 아기자기하고 들떠 있는 듯하지만, 전쟁, 종교, 문명에 관한 묵직한 서사시 같기도 하고, 임종을 앞둔 개인의 애잔한 소회로도 보인다. 천진함, 집단성, 고독의 요소는 보통 어울리기 힘들지만 마르케스의『백 년 동안의 고독』같은 라틴 문학에서는 수렴하곤 한다. 이 영화 또한 마술적 리얼리즘의 분위기가 강하다. 줄거리는 철학적ㆍ 종교적 순례로 볼 수도 있고, 사회ㆍ역사에 관한 문화비평으로도 볼 수 있다. 전자는 죽을 수밖에 없는 숙명, 그 도정에서 타인의 해방을 돕는 예술의 즐거움, 윤회에 관한 이야기이다. 후자로 볼 경우, 숲 속에서 공동체의 영혼처럼 울려 퍼지던 예술이 도시로 나가면서 상업적인 기술복제의 대상으로 전락하는 과정, 이를 초극하고 싶은 시인의 소망이 강조될 것이다.(이창우, 영화평론가)
- 감독정보
-
포레스트 이안 엣슬러, 심세부
Forest Ian Etsler, Sébastien Simon
2016 <텟수 코노의 미친 일상>
2016 <음유시인>
2016 서울독립영화제
2014 <동心>
2015 Chicago International Film Festival (Gold Plaque, Live Action)
2015 Leeds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15 Singapor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15 서울독립영화제
2015 DMC단편영화페스티발
2015 서울이주민예술제
2016 Festival International de Programmes Audiovisuels de Biarritz (Mitrani Prize)
2017 Slamdance Film Festival
2014
2014 AmérAsia Montréal Film Festival
2014 Korean American Film Festival in New York
2015 인천 디아스포라 영화제
2015 Jogja-NETPAC Asian Film Festival
2013
2014 우리영화서울 서울상
2014 서울인디다큐페스티발
2014 인디포럼
2014 서울이주민예술제
- 스탭
-
- DirectorForest Ian Etsler, Sébastien Simon
-
ProducerKIM Byung
-
ScreenwriterForest Ian Etsler, Sébastien Simon
-
CinematographerCHOI Seong
-
EditorForest Ian Etsler, Sébastien Simon
-
ArtLine Oshin Sangah, Hu Siyu, Ikram Benchrif, KIM Na
-
MusicKasuga Hachi, Clément Chardon
-
MixingThomas Guitard
-
CGRui Figueiredo. Jérôme Mettling, KIM Geon, Andrew Chung
-
CastKasuga Hachi, Tetsu Kono, LEE Hwa
The Troubled Troubadour
The Troubled Troubadour
- The extreme nightmare 3
- 포레스트 이안 엣슬러, 심세부 / Forest Ian Etsler, Sébastien Simon
- 2016
- DCP / Color/B&W
- 23min
- Korean Sub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