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회 미쟝센 단편영화제

OFFICIAL DAILY25

결국, 우리 모두에 관한 이야기였다 – ‘낯선 것의 방문’ GV

글 : 조수경 / 사진 : 허은

미쟝센 단편영화제에 낯선 영화들이 방문했다. 낯선 것들은 기괴하고 공포스럽지만 왠지 모르게 익숙하다. 숨겨보려고 노력했던 인간의 추악한 모습을, 이 낯선 영화들은 꿰뚫고 있다. 낯설지만 어딘가 익숙한 인간의 내면을 담은 영화, <텐더 앤 윗치>의 전두관 감독과 <컨테이너>의 유우일 감독을 만나봤다.

 

M: 여러분들이 질문을 생각하시는 동안 제가 먼저 두 감독님과 간단하게 대화를 나눠볼게요. 먼저 <텐더 앤 윗치>의 전두관 감독님, 이 영화에서 여성 주인공의 불안, 긴장, 히스테리와 같은 것을 다루시게 된 동기가 궁금합니다.
전두관 감독: 특별히 여성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한 것은 아니었어요. 저는 관계에서 오는 집착이나 질투, 그리고 거짓을 이야기하면서 느끼는 불안감을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당시의 저는 굉장히 불안했던 것 같아요. 그래서 이것을 어떻게 영화로 표현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여성이 겪는 신체 증상과 한 인물의 삶 속에서 오는 여러 가지 외부적인 요소들을 엮게 되었습니다. 집착, 불안, 불만 등이 잘못된 방식으로 표출이 되는 사람을 이야기하고 싶었어요.

 

 

M: 다음은 <컨테이너>의 유우일 감독님께 질문드리겠습니다. <컨테이너>를 만든 동기가 궁금합니다. 또한 감독님이 특별히 연출에 공을 쏟으신 부분이 있다면 설명 부탁드릴게요.
유우일 감독: 시나리오 쓸 당시 공사 현장에서 일하고 있었습니다. 그곳에서 컨테이너가 눈에 들어오더라고요. 그곳에 텅 빈 컨테이너가 하나 있었는데 무언가 빨아들이는 듯한 느낌을 받았어요. 안쪽이 어두워서 무섭기도 하지만 무엇이 있는지 호기심이 생기기도 했고요. 거기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
또한 의문의 남자와 창호가 만나 몸싸움을 하고 컨테이너에서 소리가 나는 부분을 생동감 있게 표현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그 장면만큼은 한 번에 갔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컷을 따로 나누지 않고 길게 찍었어요. 씬을 길게 가져가면 조금 더 긴장감이 생기고 관객이 몰입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서 그 부분을 신경 썼습니다.

 

M: 관객분들이 궁금하신 점이 많으실 것 같아요. 손들어주시면 마이크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관객1: <컨테이너> 유우일 감독님께 질문드립니다. 화면 색 온도를 파랗게 조절하신 것 같은데 컨테이너의 차가운 느낌을 표현하고 싶었던 것인지 궁금합니다.
유우일 감독: 맞습니다. 실제로 주인공이 입은 옷도 하늘색 톤의 옷을 사용했어요. 컨테이너 재질이 쇠이다 보니 차가운 느낌을 주고 싶었고요. 조금 더 스릴을 느낄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파란색으로 초점을 맞추게 됐습니다.

 

관객2: <텐더 앤 윗치> 전두관 감독님에게 질문 있습니다. 엔딩 부분에서 주인공이 토를 하는 장면이 있는데요. 주인공이 본인의 행동에 역겨움을 느껴서 토를 하는 것인지, 아니면 훔친 물건들을 토해냄으로써 욕구가 해소되는 것을 표현하고 싶으셨던 것인지 궁금합니다.
전두관 감독: 엔딩에서 주인공이 토해내는 행위는 여러 가지 감정이 들어있는 것 같아요. 자괴감도 있고요. 자기 죄를 다른 사람에게 덮어씌우고 토하는 것으로 모멸감을 벗어던지려는 행위일 수도 있고요. 하나의 감정으로 그런 행동을 묘사했다기보단 인물이 갖는 여러 가지 감정을 그 행위 자체로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관객3: <텐더 앤 윗치> 전두관 감독님께 질문하고 싶습니다. CCTV를 장면 후 다음 장면에서 남자와 약혼녀가 한 귓속말이 무엇인지 알고 싶고요. 토사물이 끈적이는 느낌이 들도록 미술을 하셨던데, 그 장면의 촬영 과정이 궁금합니다.
전두관 감독: 귓속말은 저도 정해놓지 않았어요. 관객이 저 남자가 어떤 말을 했을까 상상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고요. 사실 남자가 무슨 말을 하는지 제가 정하는 것은 별로 중요하지 않았어요. 저는 영화에서 주인공이 느끼는 감정을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자신의 죄를 가장 들키기 싫었던 여자에게 들킨 것과 그 여자가 이를 면피해주는 상황은 주인공에게 굉장히 자존심 상하는 일이었을 거예요. 주인공이 가장 모멸감을 느끼는 장면이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해 귓속말하는 장면을 넣게 되었습니다.
사실 토하는 장면은 <곡성>에서 막걸리와 같은 것을 토하는 장면처럼 찍고 싶었는데요. 촬영 상황에 맞게 여러 가지 방식으로 진행하다 글리세린을 사용하게 됐습니다. 인물의 신체, 글리세린 속 소품 등을 여러 컷으로 나누며 구토감을 표현하려고 했습니다.

 

관객4: 저도 <텐더 앤 윗치>의 전두관 감독님께 질문 있습니다. 영화에 간간이 나온 뱀이 상징하는 것이 궁금합니다. 그리고 추가로 <컨테이너>의 유우일 감독님께는 사장의 역할에 대해 여쭤보고 싶습니다.
유우일 감독: 사장은 진실에 대해서 다 알고 있지만 묵인하고 방관하는 인물로 만들고 싶었어요. 세 인물을 만들 때 각기 다른 탐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는데요. 남의 목숨이 위험한 상황을 묵인하고 방관하는 탐욕적인 모습도 있을 수 있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장을 통해 그런 탐욕적인 모습을 담고 싶었습니다.
전두관 감독: 뱀 하면 여러 가지 떠오르는 상징들이 있잖아요. 가장 대표적으로 성경에서 뱀은 인간이 죄를 범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죠. 모두가 익히 알고 있는 상징을 그 한 컷을 보더라도 느끼게 하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이 부분에서 교차편집이 계속 나오는데, 여자의 환상과 가방에서 벗어나는 뱀을 교차편집하는 것을 통해 긴장감이 팽팽하게 풀리고, 당겨지는 리듬감을 만들고 싶었어요. 남을 미워하는 감정이나 자괴감 등 여러 감정을 동적으로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관객5: <컨테이너> 유우일 감독님께 질문 있습니다. 컨테이너 1-46 숫자에도 의미가 따로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텐더 앤 윗치> 배우님들께도 궁금한 것이 있는데요. 영화에서 서로 침대, 차 안에서 목을 조르는 씬이 있는데 촬영하는데 힘드시지 않았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또 마지막 즈음에 윤혜림 배우님 머리색이 유독 연하게 바뀌는데 일부로 의도한 것인지, 아니면 원래 본인 스타일이신 건지 궁금합니다.
유우일 감독: 1-46은 실제 컨테이너 번호고요. 원래 설정해놨던 다른 몇 가지 후보들도 있었어요. 이를 실제로 붙여넣기도 했었는데 제가 원했던 느낌이 안 나와서 실제 컨테이너를 그대로 사용하게 됐습니다.
고은민 배우: 안녕하세요, 저는 <텐더 앤 윗치>에서 ‘혜화’ 역을 맡은 고은민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자면 많이 힘들었습니다. (관객들 웃음) 전두관 감독님께서 배우를 극한으로 몰아넣으시는 편인데요. 배우가 연기한다기보다는 실제로 그런 상황에 처한 모습을 보고 싶어 하세요. 자동차에서 목 조르는 장면의 경우 3시간 넘게 새벽까지 찍은 것 같아요. 체력적으로 한계를 느꼈을 정도라 힘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텐더 앤 윗치>는 제가 애증 하는 작품이기도 해요. 힘든 만큼 배운 것도 많고 좋은 인연도 얻게 되어서 감사한 작품입니다.
전두관 감독: 윤혜림 배우 머리색에 대해서 답변드리자면, 사실 영화의 엔딩은 에필로그 형식으로 따로 있었어요. 머리색이 바뀐 혜화가 한강에서 낮에 인라인을 타는 장면인데요. 머리색을 노랗게 염색한 것은 자유분방한 모습을 뜻하기도 하고 혜화가 안에 숨기고 있는 모습 혹은 혜화가 가지지 못한 모습이기도 해요. 처음 의도한 장면을 위해서 염색을 시켰는데 편집 과정에서 제가 그 장면을 빼버리게 됐어요. 그런데 그 부분을 귀신같이 찾으셨네요. (웃음)

 

관객6: <컨테이너> 유우일 감독님께 두 가지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일단 영화 속 돈이 진짜 돈인지 궁금하고요. <컨테이너>는 탐욕에 대한 신화 또는 우화적인 이야기라고 생각하는데 이야기를 구성하게 된 내적 동기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유우일 감독: 가짜 돈이었습니다. 나중에 가짜 돈을 만드실 일이 생기신다면 꼭 한국조폐공사에 신고하셔야 해요. (웃음) 내적 동기에 대해서는, 저도 그렇고 누구나 힘든 순간이 오면 돈이 먼저인지, 혹은 제가 살아가는 것에 있어서 중요한 것이 먼저인지 갈등하게 돼요. 누군가는 쉽게 돈이라고 할 수도 있고, 다른 누군가는 자신이 원하는 목표라고 할 수도 있겠죠. 고민을 통해 선택하지만 이것이 비참한 결과를 낳기도 하고 반복되기도 해요. 저는 자본에 무릎 꿇게 되는 순간이 참 많았다는 생각을 해요. 그래서 그때 제가 느꼈던 비참한 감정이나 탐욕스러웠던 제 모습을 담아내고 싶다는 생각에서 시작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관객7: 영화 너무 잘 봤고요. 저는 두 감독님께 공통 질문을 드리고 싶은데 앞으로 상업영화를 찍게 된다면 어떤 장르를 하고 싶으신지 궁금합니다.
유우일 감독: 특정한 장르를 정해 놓지는 않았어요. 저의 색이 담겨 있으면 좋겠지만, 저는 영화를 만들었을 때 이번에는 어떤 영화를 만들었을까 궁금한 감독이 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더 커요. 다른 이야기를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항상 하고 있어서 한가지 장르를 정해놓지는 않았습니다.
전두관 감독: 저도 비슷한데요. 어떤 장르의 영화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보단 어떤 인간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고 생각해요. 특히 사람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감정 중에서 죄책감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싶고, 나쁜 인간에 대한 이야기도 하고 싶습니다.

 

M: 미쟝센 단편영화제 마지막 GV 마칩니다. 오늘 감독님들이 답변을 너무 재미있게 잘해주셔 시간이 금방 간 것 같아요. 전두관, 유우일 감독님께 박수 부탁드립니다..

 

우리는 저마다 가지고 있는 추악한 모습을 숨겨보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영화는 그 점을 놓치지 않는다. 앞으로도 인간의 다양한 면을 섬세히 관찰하고 표현해내는 영화들을 많이 만나볼 수 있기를 바란다.